1. 형식
형식1) result= iweek()
형식2) result= iweek(year, month, day)
2. 기능: 형식1)은 시스템의 현재 날짜에 대하여, 형식2)는 인자 year의 년도,
인자 month의 월, 인자 day의 일에 대한 요일을 정수값으로 얻는다.
3. 설명
(1) year년 month월 day일에 대한 요일을 0부터 6까지의 정수값으로 얻는다.
(2) result의 값이 0 이면 일요일을 의미한다.
(3) result의 값이 1이면 월요일을 의미한다.
(4) result의 값이 6이면 토요일을 의미한다.
(5) 형식1)은 시스템의 현재 날짜에 대하여 요일을 얻는다.
4. 사용예
result= iweek(1999,12,31);
print(" 1999년 12월 31일은 ", result, "번째 요일입니다.\n");
print(" ", iyear(), "년 ", imonth(), "월 ",
iday(), "일은 ", iweek(), "번째 요일입니다.\n");
wk= array("일", "월", "화", "수", "목", "금", "토");
result= iweek(1999,12,31);
print(" 1999년 12월 31일은 ", wk[result], "요일입니다.\n");
------------------------------ [ 출력결과 ] ------------------------------
1999년 12월 31일은 5번째 요일입니다.
2002년 8월 7일은 3번째 요일입니다.
1999년 12월 31일은 금요일입니다.
|